GMO회사는 우리 밥상의 안전성 뿐 아니라 농부가 주체적으로 씨앗을 보유하는 종자 주권도 뺏고있습니다. 외국 종자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씨앗을 독점한 초국적 종자회사들이 GMO 종자를 도입해도 마땅한 대책은 없습니다. 그런 점에서 씨앗을 갈무리해 되뿌릴 수 있는 토박이씨앗은 GMO에 대항하는 농부들의 다부진 실천입니다.
딸기 농사만으로도 눈코 뜰 새 없이 바쁘지만 우리 농업의 미래를 위해 토박이씨앗을 모으고 살리는 일을 소홀히 하지 않는 부여연합회 김지숙 생산자를 만났습니다.
40여 가지 작물로 알찬 채종포
김지숙 생산자가 안내한 채종포는 마치 보물 상자 같았다. 수세미, 여주, 대파, 고구마, 땅콩, 콩, 목화…. 얼핏 보아도 생김새가 다른 수십여 가지의 작물이 200평의 밭을 알차게 메웠다. 미처 알아채지 못한 작물들은 설명을 들으니 더 흥미롭다. 그 모양새가 꼭 사과를 닮은 ‘사과참외’, 줄기 중간에 씨가 맺혀 3층 모양의 줄기를 이룬다는 ‘삼층거리파’, 모양이 짧고 뭉툭한 ‘몽탁수수’. 또 같은 동부콩이라도 생김새나 색상에 따라 ‘갓끈동부’, ‘어금니동부’, ‘흰동부’, ‘검정동부’ 등 그 종류가 여러 가지다. 부여 여성생산자들이 함께 돌보고 있는 이 채종포는 말그대로 씨앗을 받기 위해 특별히 마련한 밭이다. 2006년 부여로 귀농한 김지숙 생산자가 부여군 여성농민회에서 시작한 토박이씨앗 받기 활동을 한살림에도 제안해 채종포를 꾸린 지 4년이 됐다. 여성생산자들이 함께 씨를 뿌리고, 풀을 뽑고, 수확해서 씨앗 갈무리까지 함께한다.
“이중고이기는 하죠. 농사일도 바쁜데, 이것까지 같이 해야 하니까요. 하지만 토박이씨앗을 지키는 일이 결국 우리 농업을 지키는 일이라 생각해요. 우리가 씨앗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결국 몬산토를 비롯한 GMO 세력에 우리 농업과 먹거리가 잠식당하지 않을까요.”
씨앗은 농사의 시작이자 끝
이미 우리 농업은 시중 종묘상에서 씨앗을 사오는 구조로 고착화되었다. 파프리카 씨앗 1g에 십 만 원. 턱없이 비싼 가격도 부담스럽지만, 더 큰 문제는 그런 씨앗을 심어 다시 씨를 받으면 발아율이 낮거나 아예 자라지 않는다는 것이다. 매년 씨앗을 사게 하려는 종자회사들의 꼼수 때문이다. 우리가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한 사이 외국 종자로 등록돼 되레 우리가 값을 치러야 하는 씨앗도 많다.
“요즘은 농사짓는 사람조차 씨앗의 중요성을 잊어가지만, 본래는 씨를 뿌리는 일이 농사의 시작이고 다시 씨를 받는 일이 농사의 끝이에요. 옛날 어른들은 다 그렇게 농사지었잖아요.”
그는 우리 씨앗의 맥이 끊기지 않고 퍼져나갈 수 있도록 원하는 사람에게 토박이씨앗을 무료로 나눠주고 있다. 한살림 가을걷이에서도 조합원과 씨앗을 나눈다. 처음에는 가짓수가 많지 않았지만 그간의 노력으로 모인 씨앗이 어느덧 74종. 그 중에는 지역 씨앗 실태조사를 하며 할머니들께 받은 것도 있다. “시집올 때 친정 엄마가 넣어준 것, 큰 집 장이 맛있어 얻어다 키운 것. 씨앗 하나에 이야기 하나가 있죠. 할머니들이 돌아가셔도 우리 씨앗이 사라지지 않도록 보존해야 해요.”
토박이씨앗살림물품, 많이 이용해주세요
연말에는 공동체의 1년간의 씨앗 보존 활동을 돌아보고, 키운 작물들로 한 끼를 나누는 토박이씨앗축제를 연다. 작년에는 소식을 들은 조합원들도 함께 자리했다. “동부로 떡을 하고, 아주까리순나물을 무치고, 호박으로 죽을 쑤죠. 키우고 수확하고 요리까지, 모두 여성생산자들이 주축이 된 활동이에요.”
김지숙 생산자의 목표는 여성생산자들이 본격적인 토박이씨앗살림물품을 내는 것이다. “개량된 품종들은 수확량이나 크기 면에서 생산성이 좋고 토종보다 훨씬 더 많은 수익을 내니 토박이씨앗으로 작물을 내려는 사람이 점 더 줄고 있어요. 그래도 한두 명이라도 시작하는 사람이 필요해요. 제가 작년에 토종고추에 도전했는데 망했지 뭐예요. 그래도 다시 도전할 거예요. 제가 씨앗이 되야죠.”
어쩌면 국가 차원에서 해야 할 일을 너무 생산자 개인의 력에만 맡긴 것은 아닐까 생각하며, 토박이씨앗을 살리기 위해 조합원이 해야 할 일이 있을지 물었다. “토박이씨앗살림물품이 나오면 많이 이용해주세요. 그래야 그 음해에도 계속 생산할 수 있어요. 모양은 볼품없어도 미가 있는 물품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