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살림고양파주 박수진 조합원은 10평 남짓 꾸리는 텃밭에 토박이씨앗을 심고 기릅니다. 단순히 작물만 얻는 것이 아니라, 씨앗까지 채종하여 이듬해 다시 심기도 하고, 다른 조합원과 나누기도 합니다. GMO 문제는 결국 초국적기업의 종자 독점에서 시작합니다. 작은 텃밭에서 토박이씨앗을 길러 채종하며 그 작물을 먹는 것, GMO를 피하는 조금 더 적극적인 방법이 아닐까요?
박수진 조합원을 만나 GMO를 피하는 방법과 토박이씨앗 채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어라, 싹이 나네?
처음에는 옆 텃밭을 일구시는 분이 토박이씨앗이라며 한번 키워 보라고 주셨어요. 잘 키워도 그만, 못 키워도 그만이라는 생각으로 심었는데 신기하게 싹이 나는 거예요. 지금까지는 모종만 사서 길렀으니 몰랐죠. 그때가 5~6년 전인데, 그 이듬해에 한살림고양파주 농산물위원회에서 여러 종류의 토박이씨앗을 나눠줘 길러 봤죠. 지금까지 토종 옥수수, 울타리콩, 토종 아욱, 들깨, 토종무, 구억배추 등을 심었어요.
알싸해서 더 맛있는 토종무
토박이씨앗은 잘 자라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시는데, 아니에요. 아무래도 씨앗에서부터 싹을 틔우니 자라는 속도가 조금 느리긴 하죠. 수확한 작물 크기도 조금 작고, 생김새도 조금 달라요. 그런데 정말 맛있어요. 토종무는 일반 무보다 조금 더 둥그렇고 크기가 작지만 알싸하게 매운 맛이 있어서 김치를 담그면 정말 맛있더라고요.
씨앗을 심고 채종까지 하는 데 별다른 노하우가 있는 건 아니에요. 그냥 그대로 두면 꽃대가 올라오고, 꽃이 피고, 꽃이 지면서 씨앗이 영글어요. 그때 씨앗을 갈무리해서 썩지 않도록 냉장고에 잘 넣어둡니다. 그렇게 잘 보관한 씨앗을 심으면 다시 싹이 나죠. 이 과정이 즐겁고 신기해요.
키우는 과정은 다른듯 비슷해요
토박이씨앗도 그렇고 일반 농사도 그렇고 결국 사람이 정성을 많이 들일수록 잘 자라는 것 같아요. 구억배추를 심은 적이 있어요. 일반 배추보다 조금 질기다는 이야길 들었지만 질기면 얼마나 질기겠냐 싶었죠. 배추는 물관리가 중요한 작물이라 물을 열심히 주어야 했는데, 그냥 길렀더
니 이가 들어가지 않을 정도로 질긴 거예요. 그때 ‘농사는 정성이 들어간 만큼 지어지는 것이구나’ 생각했어요. 토박이씨앗이라고 키우기 너무 어렵다거나 그러지는 않아요. 정성을 쏟은 만큼 자라는 거죠. 하지만 이게 생계를 위한 농사였으면 무척 어려웠을 거예요. 일반 모종에서 자라는 작물은 일정한 모양과 크기가 있는데, 토종 작물은 그렇지 않거든요. 저야 제가 키운 것이니 맛이 있건 없건 제가 먹으면 되지만, 조합원에게 공급해야 하는 생산자에겐 무척 어려운 농사일 것 같아요.
GMO를 피할 수 있는 세상
GMO는 피할 수 없게 된 것 같아요. 밖에서 사 먹는 음식중에 GMO가 들어가지 않은 것을 찾을 수가 없으니까요. 간장, 된장부터 옥수수시럽까지. 그저 내가 먹는 음식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알고, 세 번 먹을 걸 두 번으로 줄이는 방법 밖에요. 먹거리에 들어간 GMO 원료를 알고, 피할 수 있는 사회가 되면 좋겠어요. 조합원이 스스로 토박이씨앗을 기르고 나누는 것도 하나의 노력일 수 있겠네요. 씨앗을 심고 작물을 거두고 채종하고, 다른 사람과 씨앗을 나누는 활동이요. 씨앗의 출처를 알고, 우리 땅에서 계속 나고 자란 씨앗을 지키는 일이잖아요. 계속 토박이씨앗 한두 작물은 기를 생각이에요. 작물을 길러 먹는 것도 좋지만, 그 작물에서 자라는 꽃을 보는 일이 무척 재미있거든요. 꽃이 정말 예뻐요. 부추꽃도, 아욱꽃, 무꽃도요. 채종하지 않았다면 보지 못했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