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몰랐던 무화과 이야기
“무화과에는 항암성분이 들어 있어요. 또 알칼리성 식품이라 여성들에게 특히 좋고요. 변비가 있을 때 먹으면 특효약이지.” 얼굴을 마주하자마자 무화과의 효능에 대한 이야기를 쉼 없이 쏟아 내는 조윤형 생산자의 열정은 과연 한살림에도 네 명밖에 없다는 무화과 생산자다웠다.
그는 무화과를 알릴 기회가 절실했던 것 같다. ‘무화과의 효능’을 출력해 물품과 같이 보낼까도 고민했단다. 그도 그럴 것이, 무화과는 사과, 배 만큼 자주 보기 힘든 데다 여름 과일로서도 포도나 복숭아에 비해 존재감이 덜하다.
열대과일인 무화과는 주로 따뜻한 남쪽 지방에서 생산된다. 온도 변화에 민감해 유통이 까다롭고 보관도 쉽지 않다. 전남 지역에서는 여름철 노점에서 흔히 볼수 있지만, 서울에서는 상대적으로 귀한 것도 이 때문. 조윤형 생산자는 무화과가 우리에게 생소한 이유를 과일의 특성만이 아닌 생산 문제에서도 꼽았다.
“관행에서는 유통을 쉽게 하려고 호르몬제로 한번에 익혀서 출하해요. 색은 똑같이 빨갛게 보여도 억지로 익힌 것이라 맛이 덜해요. 그러다보니 예전에는 아주 맛있는 과일이었는데 지금은 소비자들이 덜 찾는 거예요. 제철 과일 먹는 이유가 뭐예요, 맛있으니까 먹는 거지. 무화과 농사짓는 사람들이 반성해야 돼요. 무화과 살리려면 이렇게 하면 안 된다고 봐요.”
무화과의 색상을 머리에 떠올려 보던 찰나, 오늘 딴 것이라며 아들 조성천 생산자가 무화과를 내온다. 크기가 어른 주먹만 하다. 햇빛을 잘 받은 쪽은 적갈색, 덜 받은 쪽은 푸른색이 돈다.
“시중 무화과가 그렇게 호르몬 처리를 한다는데 저는 보질 못해서요. 여기 아저씨들은 다 친환경으로 농사 지으시니까요.” 조윤형 생산자가 무화과 농사를 시작했을 때 전국에 유기농 무화과를 하는 사람은 딱 여섯 명 있었다고 한다. 그 중 네 명이 함평 천지공동체의 한살림 생산자니 조성천 생산자가 말하는 ‘아저씨들의 방식’은 그에게 매우 자연스러웠다.
올해는 무화과 농사가 잘 됐다. 처음에는 수확량이 적었지만 이제는 주렁주렁 열매가 달리는 무화과 나무를 아들에게 물려주어도 좋을 성 싶다. 한살림 생산자 모임에도 아들을 보낸다. 아들은 아들대로 새로운 작물에 도전하며 한살림 생산자로서의 미래를 꿈꾸고 있다. 조성천 생산자는 재작년 한살림 생산자 교육을 받았고, 올해 정식 생산자로서 이름을 올릴 예정이다.
세대와 방식은 달라도 한살림 짓는 이야기는 계속될 것이다. 그의 이름을 달고 생산된 무화과를, 그리고 또 다른 그만의 작물을 한살림에서 만나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글·사진 윤연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