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영역 바로가기 컨텐츠 영역 바로가기 하단 영역 바로가기
  1. 한살림이야기

쿨트 랑바인 Kurt Langbein 영화감독

2018.07.21 (토)

조회수
890
공유하기
1
인류는 과연 계속 존속할 수 있을 것인가? 전세계를 돌며 이 거대한 주제를 다큐멘터리 영화에 담는 사람이 있다. 오스트리아에서 과학 언론인이자 영화감독으로 활동하는 쿨트 랑바인 감독이다. 그는 의학, 자연, 사회, 경제 등 다양한 영역에서 90여 편이 넘는 책, 방송, 영화 등을 제작한 오스트리아 지식인이다.
쿨트 랑바인 감독은 올해 다큐멘터리 영화 <다시 찾은 유토피아(Utopia revisited)>를 선보였다. 영화는 먹거리, 생활재, 노동, 주거 등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4가지를 주제로 잡고, 먹거리 주제에 한살림을 담았다. 우리에게는 익숙한 한살림이지만 오스트리아 감독에게는 무엇이 특별했던 것일까? 마침 서울환경영화제 국제경쟁부문에 초청받아 한국을 방문한 그를 만날 수 있었다. 그와 함께 민간인통제선 너머에 있는 경기 파주 한살림DMZ평화농장을 방문하고, 임진각 평화누리공원에서 인터뷰를 진행했다.
3
1996년 <체르노빌의 종>, 2000년 <자연이 다시 공격합니다>, 2008년 <아프리카로 돌아가기>, 2010년 <오스트리아_부자를 위한 천국>등 지금까지 제작한 작품들의 공통된 흐름은 ‘지속가능성’이라고 볼 수 있다. 쿨트 랑바인 감독에게 ‘지속가능성’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지속가능성. 즉, 미래의 해답은 사람과 사람 사이 관계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 결국 사람에 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이미 사회적인 쟁점이기도 하다. 사회운동가였던 아버지의 영향도 있다. 아버지는 2차 세계대전을 겪었고, 파시즘과 나치에 저항하는 운동가였다. 한국 또한 일제식민지라는 아픈 역사를 가지고 있어서 개인적으로 한국에 공감대를 가지고 있다.
왜 한살림을 촬영했는가?
생산은 소비가 결정한다. 소비자가 물품에 어떤 뜻이 담겨 있는지 알 수 있어야 한다. 지금의 경제구조는 대규모로 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지고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사람들이 땅과 순환관계에 대한 문제를 알지 못하게 한다. 서구권 사회에서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만나는 연대공동체의 규모가 작은 편으로 50~300명 가량 되는 사람들이 교류하는 수준이다. 큰 연대공동체가 없는 이유는 많은 공동체가 사회속 깊이 정착하거나 오래 지속하지 못하고 이미 도태되었기 때문이다.
한살림은 무려 65만 세대 조합원 가구가 이용한다고 들었다. 한살림물품을 먹는 사람 수가 150만 명 정도 되는 것이다. 전세계 어디를 찾아봐도 생산자와 소비자가 이렇게 대규모로 연대하고 교류하는 사례는 없다. 이처럼 크게 연대를 이루고 사회에 정착한 사례는 한살림이 거의 유일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생산과 소비가 만나 신뢰하고 연대하게 되면 농업과 먹거리가 지속가능해질 수 있다.
5
영화에서 스스로 권리를 찾은 우간다의 광부협동조합과 세계적인 대기업인 유니레버(Unilever)에 투쟁해 차(茶) 생산공장을 쟁취한 프랑스의 노동자협동조합 등 연대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정말 인상적이었다. 하지만 연대를 시작하고, 성과를 이루는 과정을 정말 힘든 길이다. 연대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영화에서 소개한 노동자협동조합 스콥티(SCOP-Ti)는 무려 3년 넘게 투쟁했다. 그들은 투쟁에 승리한 후 투쟁기간 1,366일을 <1366>이란 브랜드로 만들고, 차 생산자와 더 가깝게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우간다의 광부협동조합 또한 영화에 나오는 콩고의 광산과 비교해보면 참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들은 협동조합을 만든 지 4년 정도 되었고 아직 시작단계이지만 이전보다 소득이 증가하고, 노동에 여성이 참여하고, 희망을 바라보고 있다. 또한 영화에 나오는 페어폰(Fairphone)이 희토류 광물 생산부터 제품 제조단계까지 노동자와 만나고 연대하는 것처럼 섬유나 자동차업계에서도 이와같은 시도가 시작되고 있다.
자본으로부터 삶과 일을 되찾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 ‘협동조합’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극빈한 상황 등 어려운 조건이 많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영화를 만들면서 느낀 것은 협동만이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이고, 협동이 곧 행복해지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행복을 위해 협동하기 바란다.
한살림 조합원에게 전하고 싶은 말은?
농업의 위기는 소비의 문제이다. 영화에도 소개했지만 농업과 먹거리에 있어서 한살림은 유토피아적인 사례이고, 또한 세계적으로 가장 큰 사례이다. 소비자와 농민이 함께 가격을 결정하는 구조가 현실성 없다고 하지만 한살림에서는 실제로 진행되고 있다. 오늘 방문했던 DMZ평화농장도 소비자가 함께 참여해 만들었다고 들었다. 매년 소비자가 방문해 모내기를 하고, 가을이 되면 함께 수확한다고 한다. 지난30년 동안 이어온 협동의 방식을 더 강화하고, 원칙을 지켜나가길 바란다. 나아가 한국 사회가 이윤보다 가치를 지향하길 바라고, 국경을 넘어 세계와 더 많은 연대를 이루길 바란다.
<다시 찾은 유토피아>를 촬영하는 1년 동안 한살림을 포함해 세계 각지의 사람들을 촬영하면서 행복했다.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 많은 사람들이 영화에 공감하고 세상을 변화시키길 바란다.

인터뷰·정리 박근모 사진 류관희